모리스 니더리의 ‘너는 할 수 없다’ 아니야 ‘나는 할 수 있다’를
소개합니다.
◆ 물리학자 아인쉬타인은 4살 때까지 말을 못했고 7살이 될 때까지
읽을 줄을 몰랐다.
◆ 작곡가 베토벤의 음악 선생님은 다음과 같은 말을 한 적이 있다.
“베토벤은 작곡가로서는 아주 절망적이야!”
◆ 발명왕 에디슨은 어렸을 때 그의 담임선생님한테
“아둔하여 배울 수 없는 아이”라고 핀잔을 받았다.
◆ 디즈니랜드를 세운 윌트 디즈니는 한 때 신문사에서 일했으나
창의성’이 없다고 쫓겨나고 말았다.
◆ 성악가 카루소는 음악 선생님으로부터
“네 목소리를 가지고는 절대로 성악가가 될 수 없어.”하는 혹평을 받았다.
그러나 그들 모두는 뛰어나게 해냈습니다.
할 수 없다고 포기하면 불가능한 쪽으로 영원히 멀어지지만
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적어도 가능한 쪽으로 가까워집니다.